데이식스(DAY6) 10주년 8월 고양 콘서트 티켓 예매 성공 꿀팁
.jpg)
민생회복지원금, 사용 가능한 주요 업종
민생회복지원금은 주로 주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동네 상점들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골목 상권 및 전통시장: 지역 경제 활성화의 핵심이죠. 대부분의 전통시장 내 점포나 동네 골목 상권의 식당, 카페, 소매점 등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.
중소형 마트: 대형마트를 제외한 중소형 슈퍼마켓, 동네 마트 등에서 장보기를 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하나로마트와 같은 지역 기반 농협 마트 등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.
소규모 음식점 및 개인 카페: 평소 자주 방문하던 동네 식당이나 개인 운영 카페에서 외식비나 음료 구매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일부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경우,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 형태일 경우 사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. (단, 이 부분은 카드사별, 가맹점 계약별로 다를 수 있어 결제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)
병원 및 약국: 동네 의원, 한의원, 약국 등에서 진료비나 약제비를 결제할 때 사용할 수 있어 가계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미용실, 세탁소 등 생활 서비스: 생활과 밀접한 미용실, 세탁소, 헬스장, 학원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
배달 앱 일부: 지역사랑상품권과 연동되는 배달 앱이라면 사용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지역사랑상품권 전용 배달 앱을 통해 주문하고 결제할 때 지원금을 활용하는 방식입니다. 다만, 일반적인 대형 배달 앱(배달의민족, 요기요 등)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으니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.
여기서는 사용 불가해요! (사용 제한 업종)
민생회복지원금의 취지 상 대형 업체나 일부 업종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.
대형 백화점, 대형 마트: 롯데백화점, 신세계백화점, 현대백화점, 이마트, 롯데마트, 홈플러스 등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.
대형 온라인 쇼핑몰: 쿠팡, 지마켓, 옥션, 네이버 스토어 등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직접적인 사용이 어렵습니다. 다만, 특정 지역화폐 연동 온라인몰이 있다면 예외가 될 수 있습니다.
유흥업소, 사행성 업종: 노래방, 단란주점, 유흥주점, 골프장, 명품 판매점, 면세점 등 사행성 및 고소득 업종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본사 직영 대형 프랜차이즈: 스타벅스, 맥도날드 등 일부 대형 프랜차이즈의 경우 본사 직영점에서는 사용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. (단, 가맹점 형태의 경우 사용 가능 여부가 다를 수 있으니 결제 전 문의가 필수입니다.)
상품권 구매, 통신 요금, 공과금: 상품권이나 기프티콘 구매, 휴대폰 통신 요금 납부, 아파트 관리비 등 공과금 납부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법인 사업자: 개인 사업자가 아닌 법인 사업자에게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※ 중요한 점 위 사용 가능/불가 업종은 일반적인 기준이며, 지급 형태(신용카드 포인트, 지역화폐 등)와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반드시 거주하고 계신 지역의 정확한 지침을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.
내 주변 가맹점, 어떻게 찾나요? (사용처 확인 방법)
막상 지원금을 받아도 어디서 써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죠.
걱정 마세요! 민생회복지원금 가맹점은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.
1. 카드사 앱 및 홈페이지: 지원금을 수령한 카드사(삼성카드 등)의 모바일 앱이나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면, '민생회복지원금 가맹점 조회' 또는 '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' 메뉴를 통해 내 주변 사용처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.
2. 지역사랑상품권 앱: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'지역사랑상품권 앱'을 사용하고 있다면, 앱 내에 있는 '가맹점 지도 검색'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. 지도에서 가맹점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. 네이버/다음 지도 검색: 가장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. 네이버 지도나 다음 지도 검색창에 "[지역명] 민생회복지원금 가맹점" 또는 "[지역명] 지역화폐 가맹점"이라고 검색해 보세요. 지도상에 사용 가능한 점포들이 표시됩니다.
예시: "강남구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", "부산광역시 지역화폐 가맹점"
4. 지자체 홈페이지: 각 지자체(시청, 구청)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민생회복지원금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목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. 공지사항이나 관련 사업 안내 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.
5. 현장 확인: 매장 입구에 부착된 '지역화폐 사용처', '재난지원금 사용처' 또는 관련 로고 스티커를 확인하세요. 가장 확실한 방법은 결제 전 "민생회복지원금(또는 지역화폐) 사용 가능한가요?"라고 직접 문의하는 것입니다.